MIRAE

검사안내

치료보다 치유를 돕는 미래신경과의원

혈액검사란?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판정을 목적으로 혈액의 각종 성분을 검사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한 번의 검사로 체내에 숨어있는 질병을 찾아낼 수 있고 질병이 발병하기 전단계인 미병증상까지 진단할 수 있어 질병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혈액은 몸 전체의 장기나 조직에 병변이 있는 경우 성분에 변화가 있게 되므로 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진단 질병

간질환 지방간, 알코올성지방간, 간병변, 간염(B형/C형)
간질환
지방간, 알코올성지방간, 간병변, 간염(B형/C형)
간암, 위암, 대장암, 폐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난소암, 유방암
간암, 위암, 대장암, 폐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난소암, 유방암
심혈관질환 뇌출혈, 심근경색,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뇌출혈, 심근경색, 동맥경화
혈액질환 빈혈, 백혈병
혈액질환
빈혈, 백혈병
신장질환 만성신부전증, 신장결석
신장질환
만성신부전증, 신장결석
여성질환 생리불순, 여성갱년기, 폐경기
여성질환
생리불순, 여성갱년기, 폐경기
기타질환 당뇨병, 갑상선질환, 통풍, 류마티스관절염, 췌장염, 성병
기타질환
당뇨병, 갑상선질환, 통풍, 류마티스관절염, 췌장염, 성병

검사 대상

  • 1
    피로를 자주 느끼는 경우
  • 2
    뒷목의 뻐근함이 지속되는 경우
  • 3
    소변보는 횟수가 증가한 경우
  • 4
    이유 없이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
  • 5
    증상이 없는 건강인은 6개월~1년에 1회 권장(나이/성별 관계 없이)

검사실 안내


초음파실 : ALPINION – ECUBE 11

- 균일한 이미지 성능 유지, 효과적인 노이즈 제거

- 조직 간 대조도를 향상시켜 병변, 정상조직 간 경계 구체화

- 해상도 저하 없이 초음파 투과력 극대화

- 환자 연령 및 체구에 관계 없이 뛰어난 영상 이미지 제공


근전도실 : CADWELL SIERRA WAVE

- 신경계통의 질환 및 이상 증세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합니다.

- 수면 중 뇌파, 호흡 및 심전도 등을 기록하여 수면장애 및 기타 수면 관련 이상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자율신경검사 : AFT-800

- 자율신경계통의 기능을 평가하고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됩니다.

- 심혈관계 기능을 평가하고 심혈관 질환 및 자율신경계통의 이상을 감지합니다.

- 혈압 조절 및 혈액 순환에 관련된 신경근계통의 이상을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동맥경화장비 : 오므론 VP1000 PLUS

- 주요 동맥혈관의 경화도(Stiffness)를 측정합니다.

- 주요 동맥혈관의 탄력성(Elastic)을 평가합니다.

- 혈관 노화도 및 혈관 나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심전도&폐기능 장비 : 바이오넷 Cardio7

- 사전 심전도 파형을 확인하도록 돕고 자동 부정맥 검출 기능을 지원합니다.

- 폐기능 검사는 폐의 기본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로 폐의 가스 교환 이상 유무, 호흡 및 기도 상태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폐활량 측정법, 폐확산능 검사, 폐용적 검사, 기관지 수축 유발검사, 기관지 확장제 반응 검사 등의 항목으로 나뉩니다.


골밀도 진단 장비 : Dexxum T Quantum

- Fan 빔 스캔 방식을 이용하여 폐경 이후의 여성 또는 고령남성의 골밀도 측정 및 골다공증 진단에 최적화된 장비입니다.

- D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기술을 통해 빠른 스캔속도를 제공하는 4채널 fan beam table DXA 입니다.


VR 안(眼) 검사기기 : TENETUS

- 시야검사 및 입체시검사, 랑카스터검사, 동공검사, 회선검사 등을 시행하는 검사장비입니다.

- 주관적 시수직 검사, 상대 구심성 동공 장애 등을 진단하는데 기여합니다.


비디오안진검사기 : VNG (Videonystagmography)

- 어지럼증 환자를 대상으로 평형기능검사를 시행하는 장비로 안구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청력 & 이명검사실

난청, 이명 등을 포함한 귀 질환을 진단하는데 여러 검사가 필요합니다. 청력검사는 청력 손실의 유무를 판별하고 청력에 소실이 있을 경우 그 정도, 형태와 발병의 원인을 알아 보고 치료 및 재활의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합니다.